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 서비스 이용의 중요한 정보를 안내해드립니다.

  • HOME > 
  • 커뮤니티 > 
  • 자유 게시판 > 
  • 전체

자유 게시판 - 전체

자유 게시판 상세보기
자유 우주 이야기7탄
작성자 대위1당신을사랑하지않아요 작성일 2015-06-28 13:59 조회수 415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인 트리톤. 해왕성 발견 17일 후에 윌리엄 허셀에 의해 발견되었다. 트리톤은

특이하게도 다른 위성들과는 달리 역행을 한다. 즉, 해왕성의 자전 방향과 반대로 돈다. 목성의

이오와 토성의 타이탄과 함께 대기를 가진 위성이다. 또한 질소 입자들로 이루어진 트리톤의

얼음 화산은 수km 높이까지 솟아올랐다가 가라앉는다.

 

2006년 왜행성으로 분류된 명왕성에는 카론이라는 위성이 있다. 카론이 명왕성을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과 명왕성의 자전주기는 같다. 그래서 항상 서로의 같은 면만 바라보고 있다.

또 대부분의 위성들이 행성의 적도를 돌고 있는 것과는 달리 카론은 명왕성의 남북 방향으로

돌고 있다.

 

                                                                 090425

 

                                운석보다는 크고 행성보다는 작은

                                        소행성

                          행성으로 뭉쳐지지 못한 행성잔여물, 소행성의 모든 것

 

소행성의 발견은 19세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이루어졌다.

보데의 법칙(티티우스-보데의 법칙, Titius-Bode law)은 각 행성과 태양 사이의 거리를 설명하는

법칙으로, 경험에 의해 얻어진 것이기 때문에 발표 당시 신뢰도는 높지 않았다.

그러나 1781년 천왕성이 발견되면서(관측된 천왕성의 궤도는 이 법칙과 일치하였다), 보데의 법칙은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문제는 이 이론에 따르면 화성과 목성 사이에 하나의 행성이 존재해야

했는데, 행성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1801년에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소행성(현재는 왜소행성으로 분류됨) 세레스(Ceres)가 처음 발견되었다.

그 후로 비슷한 궤도 위치에서 소행성들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고, 이것들이 주로 발견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지역을 소행성대(Asteroid belt)라 부르게 된다.

행성이 되지 못한 행성잔여물, 소행성

 

                                    소행성의 발견


소행성은 중력이 작아서 위성이 없을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갈릴레오 우주선이 소행성

아이다(Ida)의 위성을 발견함으로써 소행성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아이다는 태양으로부터

평균 4억 3천만k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공전을 하고, 직경이 약 56km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관측 우주선인 니어-슈메이커

(NEAR-Shoemaker : Near Earth Asteroid Rendezvous)호도 소행성 에로스(Eros)에

근접 비행을 하며 많은 자료를 지구로 보내왔다. 니어-슈메이커호는 착륙선으로 설계되지는

않았지만 에로스를 선회한 후 표면에 경착륙을 성공하였고, 더욱 많은 자료들을 보내왔다.

 


행성이 되지 못한 행성잔여물, 소행성

 

                                    소행성의 발견


소행성은 중력이 작아서 위성이 없을 것이라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갈릴레오 우주선이 소행성

아이다(Ida)의 위성을 발견함으로써 소행성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아이다는 태양으로부터

평균 4억 3천만k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공전을 하고, 직경이 약 56km이다.

 

미 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관측 우주선인 니어-슈메이커

(NEAR-Shoemaker : Near Earth Asteroid Rendezvous)호도 소행성 에로스(Eros)에

근접 비행을 하며 많은 자료를 지구로 보내왔다. 니어-슈메이커호는 착륙선으로 설계되지는

않았지만 에로스를 선회한 후 표면에 경착륙을 성공하였고, 더욱 많은 자료들을 보내왔다.

 

[출처]

우주 2 (행성, 소행성, 위성, 유성, 혜소행성 아이다와 위성 댁틸.

 

                               소행성의 기원과 궤도


현재의 행성 진화론적 모델은 소행성과 같은 수많은 조각들이 부착되어 생성된 것이

행성이라고 본다. 따라서 소행성들은 그 기원이 행성으로 뭉쳐지지 못해 행성 잔여물이라고

여기고 있다. 이것들은 행성을 형성하는 대신에 지금까지 서로 충돌하여 조각으로 분쇄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소행성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어떤 것들은 긴 타원궤도를 가지고 있어서 수성보다 태양에 접근하기도 하고 천왕성 궤도까지

멀어지기도 한다. 화성과 목성 사이가 아닌 또 다른 위치에서도 소행성 무리를 볼 수 있다.

목성과 같은 궤도로 목성의 앞뒤로 60° 위치에 두 무리가 존재한다.

이를 트로이 소행성군(Trojan asteroid group)이라 한다. 이 소행성들이 위치한 곳은 목성과

태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중력적으로 매우 안정된 곳이다.

 

그리고 이 밖에도 지구와 화성 사이의 궤도에서 공전을 하고 있는 아모르 소행성군

(Amor asteroid group), 공전궤도의 근일점에 다가갈 때 지구궤도를 가로지르는 아폴로

소행성군(Apollo asteroid group), 원일점을 향할 때 지구궤도를 가로지르는

아텐 소행성군(Aten asteroids group)이 존재한다. 여기서 아폴로와 아텐 소행성군은 지구궤도를

가로질러 운동하고 있어서 지구와의 충돌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소행성군이다. 


소행성의 궤도.

   화성과 목성 사이가 아닌 위치에서도 소행성 무리를 볼 수 있다.


 

                                 소행성의 구성 물질


소행성은 탄소가 풍부한 소행성과 금속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 규산염물질의 소행성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탄소가 풍부한 소행성은 전체 소행성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이 태양빛을 반사한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반사도가 매우 낮아 검은 소행성이라고도 불린다.

구성 물질은 탄소 운석층이라 불리는 물질과 비슷한데, 이는 태양계 생성 초기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 원시 물질들이다.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소행성들은 소행성대의 안쪽에 존재하며 높은 반사도를 가지고 있고,

규산염 물질인 휘석과 감람석으로 되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엄청난 소행성들의 양만큼

그 구성 물질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이지만 이들은 태양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라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태양계 생성 초기에 원시 가스 구름이 응축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이라 추측된다.

 


성, 카이퍼 벨트, 왜소행성.) 소행성의 궤도.

   화성과 목성 사이가 아닌 위치에서도 소행성 무리를 볼 수 있다.


 

                                 소행성의 구성 물질


소행성은 탄소가 풍부한 소행성과 금속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 규산염물질의 소행성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탄소가 풍부한 소행성은 전체 소행성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이 태양빛을 반사한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반사도가 매우 낮아 검은 소행성이라고도 불린다.

구성 물질은 탄소 운석층이라 불리는 물질과 비슷한데, 이는 태양계 생성 초기에 나타난 것으로

보이는 원시 물질들이다.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소행성들은 소행성대의 안쪽에 존재하며 높은 반사도를 가지고 있고,

규산염 물질인 휘석과 감람석으로 되어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엄청난 소행성들의 양만큼

그 구성 물질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이지만 이들은 태양에서 떨어진 거리에 따라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태양계 생성 초기에 원시 가스 구름이 응축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현상이라 추측된다.

 


|작성자 mokbbaera


    대표적인 S-형 소행성, 가스프라.

 

M-형 소행성은 금속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철이나 니켈에서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보인다.

그리고 소량의 암석 성분도 포함하는 소행성이다. 약간 붉은색을 띠고 반사도는 0.10에서 0.18로

중간 정도이다. 주로 S-형 소행성으로 구성된 내부 소행성대(2~3.5AU)에 같이 존재한다.

 

소행성의 구성 성분이 태양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태양계 생성 초기 원시가스 구름의

응축과정으로 설명한다. 태양에 가까운 소행성대의 안쪽 부분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 규소와 같은

화합물이 모이고, 물과 같은 휘발성이 높은 물질은 제거된다.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 휘발성 물질이 더 많이 포함되게 된다. 실제로 C-형의 소행성들은 소행성대 중간에

위치하며 대부분 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110427

 

                                            밤하늘의 별똥별

                                          유성

                                   우주의 티끌과 먼지가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는 현상

 

유성이란 흔히 말하는 별똥별을 뜻한다. 이 유성은 혜성,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말한다. 하루 동안 지구 전체에 떨어지는 유성 가운데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없이 많으며, 유성이 빛을 발하는 시간은 1/수십 초에서 수 초 사이이다.

유성은 우주의 먼지가 대기로 들어오면서 마찰로 불타는 현상


유성체란 행성 사이의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보다 많이 작고, 원자나 분자보다는 훨씬 큰

천체를 말한다. 하지만 커다란 유성체는 작은 소행성 크기 정도로 둘을 구분하는 명확한 경계는

없다. 혜성에 기원을 둔 유성체의 밀도는 약 0.3g/cm³이나, 쌍둥이자리 유성우처럼 소행성에

기원을 둔 것으로 생각되는 유성우의 유성체 밀도는 약 2g/cm³로 높다. 유성체 자체가 밀도가 높아

단단하면 다른 유성들에 비해 긴 흔적을 남긴다.

 

유성체는 보통 약 100km 상공(지구 상층대기)에서 빛을 내기 시작하며, 그 속도는 11km/s에서

72km/s에 이르기까지 큰 폭을 갖는다. 유성체는 크기가 작지만 운동 에너지는 대단히 커서 대기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금방 타버리며, 크기가 클수록 밝고 상대적으로 오래 보이고, 작은 크기면

약하게 잠깐 빛을 내기도 한다.

 

                       유성이 비처럼 쏟아질 때, 유성우


유성우란 다수의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모습이 마치 비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유성우의 정체는 혜성이나 소행성들의 찌꺼기로, 이 천체들이 타원 궤도를 그리며 지구의

안쪽 궤도로 진입할 때 지나간 자리에는 천체들에서 유출된 많은 물질들이 남는다. 따라서 매년

주기적으로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다가 혜성이나 소행성들이 지나간 자리를 통과하게 되면 그곳의

찌꺼기들이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으로 떨어지게 되고, 이것들은 유성우가 되어 우리에게

보이는 것이다. 유성체들이 대기와 충돌할 때 같은 방향의 유성들은 한 지점에서 방사되어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 점을 복사점이라고 한다. 유성우의 이름은 복사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별자리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1
0
댓글을 가져오는 중입니다.
New 신규/복귀3월VIP이벤트전적정보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