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자유 게시판. 서비스 이용의 중요한 정보를 안내해드립니다.

  • HOME > 
  • 커뮤니티 > 
  • 자유 게시판 > 
  • 전체

자유 게시판 - 전체

자유 게시판 상세보기
자유 인간vs수학 1
작성자 중령3코너샷 작성일 2015-03-21 00:34 조회수 48

1 (10).jpg

2만년전  하나의 끌에서  규칙적인 흠을 발견



1 (9).jpg 

동물들은 4이상 숫자를 숫자를 못셋다  



하지만  2만년전    어떤 동물이  10개묶음 6개x2 총 120의   수를 헤아린 흔적을  발견한다  


자연이 우연하게  만들어진게 아니었다 

aD31qdG_460sa.gif

이것이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처음으로 앞서나가기 시작한 능력 

문명화의  시작 '숫자'


82414992dfd3301d428b07c24dad1770.jpg 

까고보니  호모사피 **들이  최초로 수를 만든것...

1 (31).jpg 

이후 bc 4000    수메르인이  또다시 숫자를 세기 시작했다.. 


1 (17).jpg 

돌하나를 1로 

돌1개 =1

1 (37).jpg 

점토 그릇에  기록할 숫자만큼 돌을  넣고 

1 (38).jpg 

봉인했다 

a2YWWVD_460sa.gif 

수메르인은 좋았다  

정확한 수를 안전하게 보관할수있다고 믿었다 


1 (39).jpg

그런데 안에 돌이 몇개가 들어있는지 보이지 않아


자주 까먹었고   개빡쳤다 

1 (40).jpg 

그래서 점토를 굽기전에  겉에다가  

돌로  5개가 들어있다고 5번 찍어서  표시해놨다..  

a2YWWVD_460sa.gif 

수메르 인은 좋았다  이제  봉인을 풀지않아도  몇개가 들어있는지  수치를 확인할수있었다.. 

1 (41).jpg 

그런데  이 ** 이럴라면 안에 돌은 왜넣었는지 생각하게됬고  아주  *같아졌다... 

1 (42).jpg 

 그리고 돌1개  =1이라는


생각을 접고 


1 (44).jpg

처음부터  점토에  찍어서 쓰기 시작.. 

1 (45).jpg

숫자를 보관하지말고 찍어쓰자   

1 (46).jpg

더 많은 수를  셀수있었고 계산도 가능했다.. 

aEG60Zp_460sa_v1.gif 

고고학자들 : *도아닌 그냥 숫자 찍어서 헤아린 정도네  뭐  ** 


 이정도는 문명이라고 할수없지!!.. ㅉㅉ 수메르인 미개한거보소 !!


1 (18).jpg 

그런데 19세기 

영국 학자들은  호주 중부 왈피리부족을 연구하던 도중 이상한걸 발견  


1 (25).jpg 

영국인 : 할배 손자 몇

1 (26).jpg 

할배 : 존많!! 

영국인 : 나이몇?

할배: 존많!!!

영국인 : 손가락 몇개?

할배 : 존많!!!! 



tumblr_mo93ypwMip1r2rvc8o1_500.gif 

영국인:??????????????????호옹이?????????????????????


처음엔 그냥 치매걸린 할아버지가  숫자를 못세는줄 알았는데

1 (21).jpg 

젊은놈도 숫자를 못셋다..

숫자자체가 없었다

1 (20).jpg 

3만년전에  호주로 넘어가서 터잡고 살았던 호모사피 **들이 


 19세기까지  숫자 4이상 안썻다는게 


문화컬쳐...


즉 3만년동안 동물**처럼  숫자 4까지만 쓴것...


aMrx3p6_460sa.gif 

학자들은 문명이란게 

'무에서 1을 도약하는게 가장 어렵고 위대한것이란걸    깨달았다... 


===========================================

ㅆㅅㅌㅊ 현대 첨단 과학 문명도 거의 200년만에 다 개발되고 만들어진거 

그들은 3만년동안  숫자라는 문명도 이루어내지못한것 

============================================

1 (54).jpg 

그렇게 bc 3000 이집트 

1 (66).jpg 

인류는 수메르 이후 처음  백만단위까지 헤아리기 시작한다  



1 (65).jpg 

파라오의 권위는 ㅆㅅㅌㅊ였고  !!! 


강력한  전제정치하에  노예 100만을 만들고  거대한 건축물을 만들기 시작


K-25.png


거대한 건축물은  +25 문화력 올라갔다..  (문화력이 타국가에  침투하면  도시국가들에게 문화컬쳐주면   동맹요구+ 조공 바침) 



K-46.png 


게다가 건축 과정에서   전문 공학자들이 ㅆㅅㅌㅊ로 늘어나   건축 건설속도가 25프로 증가함 


또한 현대사회로 접어들었을때  관광수익으로 부를 축척할수 있게됨..  


최.초.의. 거.대.건축.물 



세계 7대 불가사의 !!! 

1 (60).jpg 

그래서 빠르게 피라미드 건설하기위해선  노예관리가 필수 


 숫자 10은  노예의 


손목을 묶는 노끈 

1 (62).jpg 

숫자 100은 줄줄이 비엔나처럼  손목들을 연결하는  밧줄  단위


1 (67).jpg 

이것이 최초의 100만 숫자   파라오나 셀수있는 단위 

(사실 고대에는  인간수나  가축 셀때나 많이 사용 )

K-20 (2).png 

 빨리만들어라!!!  

270px-Hanging_Gardens_of_Babylon.jpg 



이정도 규모의 거대 건축물  바빌론의 공중정원도  앞으로 최소 2000년 후에나 만들어진다 


(바빌론 공중정원 bc  562)  


K-42.png 


이정도  통치력 과 생산력을 가진 제국은 bc 3000 지구상에선    아무도 없다!!!


세계4대문명.png


   인더스건 황하건  잉카나발이건   아직 멀었다 


 미개한 동물수준이거나  부족사회나 하고있을듯!!!!!


우린 이.집.트  다!!!

1 (71).jpg 

그렇게 위대한 과학자들이 탄생 정확한 계측을위해 


1 (73).jpg 

건축공학 기술의 발달은  정확한 단위를 발명 

1 (74).jpg 

이것이 1의 단위로 변신  


팔꿈치에서 손가락의 길이= 1 

1 (75).jpg 

이로인해 정교한 건축술이 가능해짐..



이렇게 만들어진 '자'는  모든 건축의 기준이 되었고


숫자를 정교하게 사용할수록 건축은 ㅆㅅㅌㅊ가 되었다 


( 이것이 영어  ruler의 뜻이되었다.   ' 자' 혹은   '지배자' )


인간이 수를 많이 다룰수록 문명화는 가속화 되었다.


0
0
댓글을 가져오는 중입니다.
3월VIP이벤트전적정보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