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楚辭(초사)에 대하여 (2) | |||||
작성자 | 소위2영자장애 | 작성일 | 2013-12-28 20:24 | 조회수 | 38 |
---|---|---|---|---|---|
1)『초사』가 비록 『시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지만 내용과 풍격에 있어서 매우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시경』은 황하 유역에서 생산된 북방 문학이다. 북방의 기후는 건조 한랭하고 토지가 척박하기 때문에 백성들의 성격은 소박하고 실제를 중요시하였다. 따라서 『시경』은 현실적인 사회 생활에서 소재를 찾아 풍격이 담백하고 사실적이다. 그러나 『초사』는 장강 유역에서 생성된 남방 문학이다. 남방의 기후는 따뜻하고 토지가 비옥하기 때문에 물산이 풍부하며, 인정이 온후하고 상상력이 풍부하여, 그들의 작품도 자연히 낭만적인 것이 많다. 2)중국은 은상(殷商)으로부터 서주(西周)에 이르기까지 귀신의 개념이 매우 발전하였다. 춘추 전국 시대 이후 유가와 도가 사상의 영향으로 귀신 신앙이 희박해지긴 했으나, 문화적으로 비교적 낙후되었던 초나라에서는 무술 신앙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런데 굴원은 이 신화와 전설을 잘 운용하고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신화적 색채가 뛰어난 작품을 창작하였다. 3)무술 신앙 이외에 또 특기(特記)할 것은 남방의 음악이다. 「이소」의 말미에 '난왈(亂曰)'이라 하고, 「구장」의 「추사(抽思)」 편에 '소가왈(少歌曰)', '창왈(倡曰)'이라 하는데, 여기의 난(亂), 소가(少歌), 창(倡) 등은 모두 악절을 지칭하고 있다. 창랑의 물이 맑을진데, 나의 갓끈을 빨 수 있고, 창랑의 물이 흐릴진데, 나의 발을 씻을 수 있다. 凔浪之水淸兮, 可以濯我纓. 凔浪之水濁兮, 可以濯我足. 이 노래는 『맹자(孟子)』의 「이루편(離婁篇)」에 있는 것으로, 공자가 초나라가 유력할 때에 들었던 한 어린아이의 노래라고 하여 「유자가(孺子歌)」라고 했다고 한다. 어쨌든 이와 같은 사실을 두고 보더라도 남북의 음악이 서로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나라의 노래들은 『초사』의 근원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초나라는 장강의 남쪽 일대에 자리잡고 있어 자연 환경이 북방과는 아주 달랐다. 풀, 나무, 새, 짐승들까지도 달랐으며, 특히 이 일대의 언어는 더 말할 것이 없었다. 더욱이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당시로서는 남북의 음이 잘 통할 수 없었던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그런데 『초사』에서는 초나라의 구어(口語)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소(離騷)란 두 글자도 초나라의 구어이듯이, 구어의 적절한 운용를 통해서 초사 문학의 독특한 언어 예술의 풍격을 형성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초나라의 언어 (역사 따라 배우는 중국문학사, 2010.3.24, 다락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