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이거 레어닉이라고쳐줌? | |||||
작성자 | 소위5삼성전자기 | 작성일 | 2012-03-25 19:54 | 조회수 | 11 |
---|---|---|---|---|---|
긴흰수염고래 학명 :Balaenoptera musculus (Linnaeus, 1758) 생물학적 분류: 고래목 > 수염고래아목 > 긴수염고래과 먹이: 연안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원을 이룸. 분포지: 전 세계 대양. 먹이를 쫓아 연안가까이에서 관찰되기도 특징형태 : 지구상의 동물 가운데 가장 대형이다. 몸의 형태는 가늘고 긴 유선형의 체구를 지니고 있다. 머리는 위에서 보면 폭이 넓고 U자형을 이룬다. *슴지느러미는 길고 뾰족하다. 등지느러미는 비교적 작고 형태는 변이가 심하며 몸의 4분의 3 정도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목에서 배꼽 또는 그 부근까지 55~88개의 주름이 나있다. 입에는 270~395개의 검고 1m 정도 길이의 수염판이 있다. 물기둥은 가늘고 높으며 높이는 9m 이상 이른다. 크기 : 성체는 암컷이 수컷보다 조금 크며 대개 전체 길이 23~27m, 갓 태어난 *끼고래는 약 7m, 성체의 몸무게는 160톤에 이른다. 생태 : 대개 단독 또는 2마리로 활동하나, 주요 번식해역에서는 10마리 전후 또는 그 이상의 무리가 관찰되기도 한다. 짧은 잠수가 대부분이지만 15~20초 간격의 몇 차례 수면 위로 머리를 드러낸 이후 30분 이상 잠수를 한 사례도 기록되어 있다. 꼬리지느러미를 수면 위로 드러내는 일은 드물지 않지만 흰긴수염고래 전부가 꼬리지느러미를 수면 위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끼는 겨울철에 열대에서 아열대 번식해역에서 태어난다. 먹이를 섭취하는 해역에서는 구름처럼 떼지어있는 새우무리에 다양한 모습으로 돌진하여 먹이를 먹는 것이 관찰된다. 기타정보 : 고속보트와 화약탄두의 작살로 포획이 가능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에 거의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개체수가 남획되어 적멸직전에 이르렀다. 1965년 국제포경위원회가 보호하기 시작한 이래 미국 캘리포니아연안 등 국지적으로 회복하기 시작하여 현재 동부 북대서양과 동부 북태평양에서는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하다 레어닉인정좀 |
제명 | 로스트사가 | 상호 | (주)위메이드 |
이용등급 | 전체이용가 | 등급분류번호 | 제OL-090327-009호 |
등급분류 일자 | 2009-03-27 | 제작배급업신고번호 | 제24108-2001-2호 |